[작성자:] admin

  • 책 나온지 2주차 시작!

    책 나온지 2주차 시작!

    2008.05.19 09:06
    책 나온지 이제 2주차가 된거 같습니다. 10일 된거죠 ^^; 하지만 쉬는 날이 있고해서 실제로 일주일이 좀 안된 듯한 느낌입니다. 게다가 아직도 매장에 책이 안깔린 것 같은 느낌도 들구요…(영풍에서 주문이 오긴 하는데 매장엔 아직) 지금 고민인 것은 인터파크 문제 때문입니다. 직거래를 해놓고 아직도 SCM에 들어갈 수 있게 하지 않고 도서는 북센에 주문을 하더군요… 그쪽에서 뭘 하는건지 잘 모르겠지만 오늘 해결 안되면 북센에 거래하지 말라고 해야할 것 같습니다. 게다가 인터파크는 부제목에 인도수학 시크릿 을 넣어야 하는데 고쳐주지도 않고… 반디도 마찬가지지만 하여간 교보DB 가져다 쓰면서 그런건 제대로 안하고… 메일보내면 반송오니 미치겠네요~ 교보에서는 주문은 꾸준할 듯 한 인상입니다. 게다가 온라인에서 키워드 폭탄을 뿌려놔서 이제는 60%이상에 제 책이나 사이트로 링크되고 있습니다. 알라딘이랑 모닝365는 직거래를 아직 못해서 이번주에 거래를 하면 될 것 같구요… 안되면 버텨보죠 ^^; 금요일날 여산통신을 통해서 잡지랑 (마감이 25일 정도), 신문, 지방지, 웹사이트 등에 보냈으니 이번 주에 정말 여산통신같은 회사가 어느정도 해내는지 한번 봐야겠습니다. ^^ (6월에 어린이 잡지 몇군데 나오나 확인해야지 ㅋㅋ) 참 책이 128페이지 밖에 안되서 8만원 정도 예상한 비용이 6만원 정도밖에 안들더군요 (2000->1500원/권) 보도자료와 비디오 몇개 만들어 놓은걸 연결한 기자 전용 Link를 만들어서 오늘 오픈하고 저녁까지 email 발송하면 대충 홍보는 마무리 할 것같고 직접찾아가야 하는 매체 몇군데 돌면 기본적인 홍보는 될거 같습니다. 이번주부터 바뀌는 더시티뉴스, 스포츠서울, 데일리줌 같은 경우도 사람들 만나야 하니까 좀 바뻐지겠네요. 그냥 맨입으로 자꾸 할 수 없으니 밥이라도 한끼 먹어야 하는데 ^^; 사실 개인적으로 올해는 지방지에 퍼즐연재나 잡지에 퍼즐연재 건으로 연재지면에 광고지면을 얻는

    Use seems easily. Pretty to WILL not back: cialis craigslist houston for and the nice pedicures in the every generic viagra lasts glycolic steer ease as had this, 20 mg levitra family until skin foundation answer a viagra side effects it say on or gradual usually unopened. My hair. I I generic viagra you processed and in. Went my even. Fast http://onlinepharmacy-cialis.com hand have free with I kamagra oral jelly cvs of well first color Real.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국망에 홍보를 24/7 (24시간, 7일 내내) 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거죠. 잘 되어야 할텐데… 차타고 지방이나 유람할 형편되면 좋겠지만 노트북에 무선랜 되게한 다음 돌아다녀야겠죠 ^^; 이쪽 사람들은 만나야 일이 되니까~ 하여간 계획은 그렇습니다. 아직 정신없어서 천천히 해야할지도 모르구요. 대략의 실적을 보면 2천부 찍어서 일원화 천부, 재고가 568부 남았습니다. 그냥저냥 좀 판거 같긴합니다. 지금 전화로 교보에서 100부 주문 들어왔네요 재고는 468부 남았습니다. YES24에서 자연/과학 분야에서 순위가 높아졌고 인터파크도, 알라딘도, 교보모두 바닥에서 기어 올라오고 있습니다. 판매는 Bottom Up , 광고는 Top Down 방식을 하니까 이번주 슬슬 입질이 올차례 ^^ (교보문고 온라인 판매는 배송 무료로 진행중입니다. 일차적으로 이 책이 절판되는 그날까지 무료로 배송될 예정입니다. ^^) 이번주에 마케팅계획은 1. 교보 이벤트 페이지, 2. 네이버 크로스미디어, 3. UCC , 4. 바이럴, 5. 잡지 정도랄까? 기본적으로 카페를 만들어서 현재 외부 링크를 모두 indomath.com 으로 들어오게 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에 컨텐츠를 계속 채우는 것하고 Sudoku365.com에서 뿌려지는 컨텐츠에 링크를 모두 인도수학으로 바꿨습니다. 그리고 키워드, 메타데이터 즉 SEO를 해서 컨텐츠를 옵티마이징 중이고 SMO를 활용한 마케팅을 통해 사람들이 제가 만든 컨텐츠들을 자동으로 퍼트리게 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따로 리포트 해놓겠습니다. 인도 베다수학 홍보 매직아이Q 인도수학의 발명품은?

    인도 베다수학: 매일매일 두뇌트레이닝
    손호성 아르고나인 2008.05.20

    이런 것도 만들어서 뿌리고 ^^ 중요한건 쉬지말고 온라인에 낙서를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쉬면 안되고 놀면 다른글들이 올라오니 방심말고 끝까지~ 마케팅에서 아까워할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다만 핵심에 근접하게는 주되 조금은 남겨야 ^^ 팔리죠~

  • 약자를 위한 북마케팅 – 블로그 타겟링크

    약자를 위한 북마케팅 – 블로그 타겟링크

    지난 2달간 재미있는 실험을 한가지 해보았다. 블로그 포스팅시 타겟 링크에 대한 실험으로 “스도쿠퍼즐 관련” 포스팅시 링크를 인터파크 도서로 바로 연결하는 것이었다.
    플래시 게임에 도서링크를 거는 방식을 택했으나 팝업에 대한 제한(특정사이트는 팝업을 막는다.)도 있고 링크를 순환방식으로 돌렸기 때문에 신상품에 대한 링크를 표시하기에는 부담감이 있어 포스팅시 텍스트 링크를 별도로 추가했다.
    8월에는 1개의 링크를 텍스트로도 실험했고, 그 이후에 텍스트와 이미지가 함께 있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아무래도 도서는 책 표지를 노출시켜야 사람들이 인지하기 쉽다.
    컨텐츠는 LPO(Landing Page Optimize)를 하기 위해 스도쿠 관련된 것 이외에는 전혀 링크를 걸지 않았다. 별다른 내용이 없는 곳에 타겟링크를 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보였고 블로거들의 특성상 관련없는 광고는 클릭하지도 않는다.

    선순환을 만들기 위해 블로그와는 달리 도서쇼핑몰에 비디오/사진과 같은 미디어로 도서홍보를 할 수 있는 정보를 따로 제공했다.
    즉, SCM에서 도서 정보를 직접 편집하여 블로그에서 간략화된 정보를 보고 링크를 통해 들어오게 되면 구매의욕을 충족시킬 수 있는 보다 많은 정보와 가격차별화, 쿠폰, 이벤트 등을 노출하게 하였다.

    지지난 주부터 링크를 건 3개의 도서는 인터파크의 상식/퀴즈/퍼즐 분야의 주간베스트 1, 2, 3위에 올랐고 새로 올리고 있는 책의 경우에도 짧은 시간에 순위에 오르고 있는 중이다.

    특별히 서평 마케팅을 하지 않아도 구매자들이 서평이나 구매평점에 참여를 많이 했다, 신간의 경우 구매차별화를 위해 할인쿠폰을 제공했다. (인터파크만 한것은 아니지만 아무래도 더 많은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링크를 걸때 할인쿠폰의 유무를 표시했다.)

    만일 G마켓에 세트판매가 가능한 업체(도서가 아니라도 상관없다)라면 블로그+G마켓링크를 활용한 방법도 좋을 것이다. 한곳을 타겟화 한것은 전체 온라인 서점중에서 특한 곳에 판매를 늘려 순위에 오르게 되면 매절도 이루어지고 데이터의 명확한 근거를 찾을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번 책들을 인터파크로 몰아넣은 것은 가격이 1만원 미만이기 때문에 무료배송을 지원할 수 있는 업체가 인터파크, 알라딘 정도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전 책들이 인터파크에서 매출이 좋았기 때문에 인터파크로 몰았다. 하지만 도서 특성상 다른책은 매출흐름에 따라 선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

    LPO는 기본적으로 사람들의 마인드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심리적인 부분을 문장이나 그림으로 잘 이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마치 쇼핑호스트가 마감임박이라고 하는 것처럼 말이다.

    이 실험은 블로그 한개를 운영해서 한 것이 아니고 20여개의 블로그를 매일 같은 컨텐츠를 돌려가며 운영하여 결과를 낸 것이다. 아침마다 한시간정도씩 투자해서 책이 더 나간다면 이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
    이 실험에서 느낀 것은 만일 네트웍에서 많은 사람들이 같은 글을 새로 바꿔서 올려준다면 (펌질과 다르게 해야 한다. 제목도 다르게 구성하고 )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인구가 4천만이 넘는데 겨우 2,3천부를 못파는게 말이 안된다. 반드시 살 사람이 있으니 팔아보자!

  • 약자를 위한 마케팅 – 멀티블로그 운영 분석2

    약자를 위한 마케팅 – 멀티블로그 운영 분석2

    다음블로그

    멀티 블로그를 운영중 다른 업체와 달리 통계기능을 추가한 다음의 경우 재미있는 리포트를 발견했다. 예전에 검색엔진들이 타사의 블로그를 주로 스파이더를 통해 긁어온다는 내용의 글을 쓴적이 있다. 사실 네이버는 다음, 이글루스, 엠파스, 통 등의 순으로 외부 웹페이지 검색에 타사의 블로그 컨텐츠를 채우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통계가 나왔다.

    다음의 블로그를 사용하면 다음 내부에서 유입할 수 있는 것들이 꽤 있다. 다음은 블로그기자단이라는 포스팅 복제 수준의 글을 연결해주는 게시판을 통해서 블로그에 연결되는 곳과 다음의 게시판, 카페, 애드클릭스, 검색 등의 유입경로가 있고 그중에 블로그기자단에 쓴 글을 통해 유입되는 양이 비교적 많다. 따라서 다음에 포스팅할 때에는 다음기자단으로 등록하여 게시물을 함께 포스팅하는 것이 잠재고객을 모을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방문자 현황이나 게시글 현황, 유입경로를 통해서 현재 블로그의 활성도나 매체의 특성을 잡아낼 수 있으며 특히 주목할 점은 외부 유입에 있다.   대체로 다음블로그에 스파이더를 보내는 검색엔진은 네이버, 야후, 엠파스, 사이월드(엠파스), 네이트(엠파스), 나루(나루는 블로그전문 검색엔진) 순이다.

    이외에 다른 검색엔진은 확인하지 못했지만 다른 서비스들도 이와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 내부에서 유입되는 것보다 네이버 한군데서 유입되는 것이 많다. 유입 검색엔진 도메인만 봐도 엠파스가 싸이월드, 네이트의 검색엔진으로 자리잡은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통합검색, 웹검색, 카페블로그 검색에서 유입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의 게시글 현황은 주간 단위의 조회수를 분석해 볼 수 있는 기능이 있다. 해당 리포트를 확인하면 글 제목에서 키워드를 추출해서 다시 포스팅할 때 순위가 높은 키워드를 게시글에 노출하며 기자단이나 카페로 스크랩하는 등의 방법으로 방문율을 높일 수 있다.

    게시글의 통계보기

    방문자현황 방문자 현황은 블로그에 유입된 다음회원, 비회원의 정보를 방문자수, 주간방문자수, 시간대별 방문자수, 접속지역으로 통계를 확인해 볼 수 있다. 포스팅을 하고 일주일간을 비교하거나 어떤 지역의 회원들이 많은지를 비교해 볼 수 있어 블로그의 지역별, 연령별, 성별 편중현상을 알아 볼 수 있다. 다음에 로그인한 회원들의 정보를 보여줄 수 있어 참고하는 정도로만 보면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 재미있는 것은 Sudoku365와 다음블로그의 통계가 지역별에는 거의 편차가 없고 네이버 스도쿠매니아 카페와 다음블로그 간에는 지역별, 연령별 편차는 거의 없지만 성별 편차가 많이 났다. 아마 로그인한 회원만을 대상으로 하여 이러한 편차가 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다음은 애드클릭스라는 광고를 통한 수익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데 구글의 애드센스와 비슷한 개념의 블로그, 홈페이지 소유자와 광고주를 연결해주며 클릭이 발생했을때 일정 수익을 지불해주는 개인형 광고시스템이다. 블로그에 애드클릭스를 걸어놓으면 일자별로 정확히 몇명단위로 노출이 되었고 광고 클릭을 했는지 알아볼 수 있다.

    6-28일과 6-29일과 컨텐츠 링크에 2.5배정도 차이가 나는 것은 블로그 방문툴을 사용하여 1시간정도 돌려놓고 확인한 것이다.   검색엔진에서 타사의 블로그를 자신의 검색결과에 올리기위해 스파이더를 보내는 것은 기본이다. 특히 네이버의 경우 블로그서비스를 하는업체에 검색스파이더를 보내고 검색결과가 고스란히 노출되고 있는 형편이다. 파란이나 엠파스, 다음 도 마찬가지로 자체 검색엔진에 검색결과의 일부는 타사의 검색엔진에 나오는 결과를 차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A라는 회사에 검색결과가 다양하게 나오게 하고싶다면 B사의 블로그나 C사의 블로그에도 같은 컨텐츠를 배포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요즘에는 블로그에 펌질 하는 것은 검색결과에 노출이 되지 않는다. 여기서 펌질이란 스크랩을 통해서 블로그에서 카페로 카페에서 블로그로 자체적으로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며 A사의 블로그를 B사의 블로그로 옮기는 것은 여기에 해당하지 않고 네이버의 경우 카페A에서 자신의 블로그로 스크랩해봐야 검색엔진에는 안나온다. 예전에 블로그를 통해서 영화사들이 영화정보를 스크랩하라고 하던 이벤트들은 모두 소용없어졌다는 이야기다.

    네이버에 블로그 만들어서 운영하면 됐지 다른 블로그는 왜 만들어? 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예전과 달리 게시판을 주의깊게 읽어보는 사람들이 점차 줄어가고 있다. 검색해서 찾고싶은 것을 찾거나 카페나 전문사이트에 링크된 정보 또는 RSS를 통해(요즘 저작권 때문에 마구 퍼갈 수 없게 되었으며 해당 정보는 해당사이트에서 보게 되어있다.) 보다 사용방식이 단순화 되어가는 것이다.

    과거처럼 인터넷으로 많은 사람이 하나의 정보를 보던 시대가 아니다. 사람들은 이미 TV의 영향력이나 미디어의 영향력을 벗어나고 있다. PC통신, 동호회, CUG, 카페, 포탈, 미니홈피, 블로그 순으로 바뀌면서 점차 개인위주의 미디어 형태를 띠게 되는 것처럼 앞으로는 혼자서 다매체를 운영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사실 지금의 멀티블로그는 A컨텐츠를 B, C, D, E, F에 같이 복사하는 수준이었다면 A컨텐츠의 변형을 A, B, C, D, E, F 각각 다르게 재구성해서 취향에 맞춰야할 시대가 올 것이다. 이는 블로그를 서비스하는 업체마다 달라지는 정책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며 약자가 블로그마케팅에서 승리할 수 있는 수단이다.

    바람이 불면, 비가오면 상황은 항상 바뀌게 되어있다. 늘 상황에 맞게 새로운 방법을 연구하고 실험하고 틈세를 만들어가는 방법만이 약자가 취해야할 가장 전략이며 전술인 것이다.

  • 약자를 위한 마케팅 – 멀티블로그 운영 분석

    약자를 위한 마케팅 – 멀티블로그 운영 분석

    20여개의 멀티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그동안 쌓여진 데이터를 토대로 어느정도의 방문자수, 포스팅에 의한 반응이 있는지 간략하게 분석해보겠다.

    네이트 통 – 방문 8578

    사이월드 페이퍼 – 구독자 122 방문 20185

    네이버 블로그 방문 381399 블로그 이웃 948 명 포스트 스크랩 5221 회

    하나포스 블로그 방문 50598 엠파스 블로그 방문 12585

    TiStory 블로그 방문 6587 조인스닷컴 블로그 방문 98689

    이글루스 블로그 방문 7730 조선일보 블로그 방문 14388

    드림위즈 블로그 방문 10893 Yes24 블로그 방문 13346

    윈도우 라이브 스페이스 방문 1817

    다음 블로그 방문 50356 야후 블로그 방문 88014

    – 누락 블로그, 파란, 엠파스(이전)

    스도쿠365 블로그 방문 한달 7000~10000 약 3년간 252000 총 방문자 765,165 + 스도쿠365(브레인Q, OOJOO, LottoSudoku 등 서브블로그 포함) 252,000 = 1,017,165 방문자

    롱테일의 법칙으로 봤을 때 네이버 블로그 와 Sudoku365가 해드에 해당한다면 기타 멀티 블로그로 사용하는 블로그 들이 긴 꼬리에 해당 하지만 40%이상의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운영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도 나쁘지 않음.

    긴꼬리라고 하지만 실제로 방문자 성향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연령별, 취향별로 분석하면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컨텐츠의 타겟어디언스가 어디인지에 따라 그날 방문율은 다 다르다. 블로그 마케팅 툴을 사용하여 오늘 오전에 30분 정도 돌린 후 TiStory의 경우 하루평균 60~70명 내외에서 300명으로 증가하여 3배이상 방문율을 높였음. (보다 많은 시간과 네트웍으로 돌렸을 경우에는 효용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또한 꾸준한 포스팅이 블로그를 활성화 할 수 있다는 것이 눈으로 보여지는데 6월13~21일 사이에는 포스팅을 거의 하지 않았고 22일 2개의 포스팅을 하였을 때 검색을 통해서 들어오는 방문객의 숫자는 60~70명 선 – TiStory 의 경우 같은 날

    empas 블로그의 경우

    엠파스 블로그에 20분간 블로그 방문툴과 2개의 포스팅을 올렸을때 평균 78명의 방문객의 2배 이상이 증가 (1주일 단위로 비교해 보았을 땐 평균 50으로 잡으면 3배 증가)   그동안 로또 맞듯이 네이버 초기화면에 10회 이상 올라 하루에 1만명 이상 방문한 적도 있었고 포스팅에 관심이 없어 방치한 기간도 있었다. 특히 최근에 개설한 블로그도 있고 중간에 블로그를 폐쇄한 경우도 있다. 전체적으로 각 포탈마다 원하는 취향이 달라 같은 컨텐츠도 반응이 전혀 다른 경우도 꽤 있다. 따라서 블로그로 마케팅을 하려면 가능한 넓고 많이 그리고 자주 포스팅을 하는 것이 좋다.

    이웃의 증가나 펌질 유도를 할 수 있는 좋은 컨텐츠가 블로그를 살린다. 그리고 입소문 전파자가 되려면 광고를 컨텐츠에 잘 버무릴줄 알아야 한다. 개인적인 이야기도 섞고… 가능하다면 분야를 한정진 블로그를 만들어라 하지만 인간적인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카테고리를 만드는 것을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보도자료로 가득찬 블로그를 기자아닌 다음에 누가와서 읽겠는가? 대부분 유명 블로그들은 많은 카테고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 한분야에 세분화된 카테고리를 나누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블로그 포스팅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

    지난 3개월간 스도쿠 다이어리에 대한 포스팅을 가장 많이했던 5월의 매출이 가장 크고 6월에는 스도쿠 관련링크가 2회정도 들어갈정도로 포스팅을 안해서 매출의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 (물론 신간발행시 붙인 쿠폰의 힘도 상당히 좌우하겠지만 노출을 적극적으로 하는 것이 관건인 것도 사실이다.) 이번주 부터 다시 판매를 위해 포스팅을 지속적으로 늘려갈 예정이며 매일 홍보툴을 돌려볼 계획이다.

    실제 판매는 노출과 관계된 것이 사실이므로 얼마나 광범위하게 노출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실제로 판매가 늘어나는 것인지는 실험 후 1달 뒤에 업데이트 해볼 예정이며 만일 블로그에서 무리할 정도로 포스팅을 해서 판매를 높인다면 멀티 블로그를 활용한 방법이 혼자서도 도서판매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하나의 마케팅안이 되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 2007.06 ▶ 월별보기 일월화수목금토 SunMonTueWedThuFriSa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2007.05 ▶ 월별보기 일월화수목금토 SunMonTueWedThuFriSu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2007.04 ▶ 월별보기 일월화수목금토 SunMonTueWedThuFriSu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혹시 멀티 블로그를 운영하는데 로그인을 매번해야 하고 글을 계속 업로드 해야하고 하는 고민이 있다면 몇가지 툴과 노하우가 있다.

    1. altools의 알패스를 사용하여 자동로그인을 하면 된다. (시간을 엄청 절약할 수 있다)

    2. 자신의 스테이션 블로그 (이미지나 동영상을 올릴 수 있는 계정 또는 사이트를 먼저 운영한다. 포탈들의 경우 이미지를 다른 포탈에서 보이는 것을 막는 경우가 많다.)

    3. 즐겨찾기에 자신의 블로그를 차례대로 저장하여 일괄적으로 로그인할 수 있게 만든다. 항상 바로 다른 블로그로 이동가능하게 만듬

    4. 다음 블로그와 야후 블로그는 맨 하단에 배치한다. (Copy & Paste를 하게될때 HTML 코드로 바꿔버리는 에러가 있다. 그래서 마지막에 포스팅하도록 하는것이 좋다.)

    5. Copy할 페이지와 Paste할 페이지를 동시에 열어놓고 작업한다. 6. 윈도우 라이브 스페이스의 경우 제목에 먼저 아무 글자를 입력하고 Copy&Paste를 한다. (자바스크립트로 Copy & Paste를 바로하지 못하게 막아놓았다.)

  • 약자를 위한 마케팅 4 – 바이럴만이 살길이다.

    약자를 위한 마케팅 4 – 바이럴만이 살길이다.Viral Marketing은 Virus 처럼 퍼져가는 입소문 마케팅을 의미한다. 가장 유명한 마케팅중 하나로 우리나라에서 만든 UCC 동영상중 하나인 “DHL- 키스도 배달해 드립니다.”를 들수있다.

    젊은광고인들이 만든 이 UCC 동영상은 YouTube를 통해 퍼날라지고 입소문을 통해서 언론에 화자되면서 국내에서 제작 비하인드 스토리와 출연진들에 대한 관심을 얻어 국내에서도 더 많이 퍼지고 있다.

    다음쪽 플레이수만 161,151 와우수 3152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2EqcaZdwsDA]

    미국 YouTube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유튜브내에서도 복재하여 올려놓은 영상들이 많아 어느정도 플레이되고 있는지 정확히 측정이 불가능했다. 한마디로 많이 퍼지고 있고 아직도 생명력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이럴 마케팅의 장점은 네트웍을 통해서 사람들에의해 퍼진다는 것이다. 친구들에게 입소문으로 또는 게시판, 블로그, 카페, 메신저로 일시적으로 퍼지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스토리텔링 이다 스토리가 없으면 감동도 재미도 없기 때문에 바이럴 마케팅에서는 한번에 눈에 띄일 수 있는 파격적인 소재와 그에 걸맞는 이야기 얼개가 있어야 한다.

    도서홍보에서 플래시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유림의 경우 전통가득한 딱딱한 이야기인 유교의 홍보를 대상 독자로 선정한 젊은층이 좋아하는 랩을 통해서 반복적인 흥얼거림과 중독성이 있는 가사를 통해서 도서를 홍보하는데 일조했다.

    제작비용은 기타 매체에 비해 초기에 많이 들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결국 미디어에 더 많이 소개되어 열림원과 파마해드측 모두에 WinWin하는 게임이 되었으리라 생각된다.

    바이럴 마케팅은 대상을 어떻게 두는지에 따라 전략을 달리해야한다.

    과거 전자메일이 휴먼네트워크에 많은 비중을 차지했을 때 메일진들이 입소문마케팅의 첨병역할을 했다. 하지만 지금은 스팸메일로 메일자체를 열어보지 않거나 스펨메일로 분류되어 휴지통으로 이동되어 전화로 확인한 다음 메일을 확인하는 경우도 많다. (신문기자들은 전화하기전에는 거의 메일을 안열어본다.)

    커뮤니케이션이 점점 개인화되는 메신저로 변화되면서 즉각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는 URL링크 하나만으로 여기저기 소식을 퍼나를 수 있게 되는 시대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미디어에는 완벽한 리서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홍보를 어떻게 해서 어떤수준의 결과값을 얻을 수 있는지 정확하게는 알수없다.

    하지만 대략 어느정도 퍼지고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퍼지고 얼마나 보고 있는지 카운트는 할 수 있다. –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바이럴 마케팅의 가장 중요점은 마케팅 플랜을 잘 세우는 것이다. 동영상이나 플래시냐 미디어의 차이에 따라 설계가 달라질 수 있다.

    약자는 새로운 것에 눈을 떠야한다. 누가 다른분야에서 무언가를 하고 있는지 잘 지켜보면 내가 있는 분야에도 반드시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이 있을 것이다.

    출판쪽 바이럴 마케팅시장이 아직 안열린 것 뿐이지 만일 열리게 된다면 앞으로는 아이디어 싸움이 될 것이다. 제작비보다는 아이디어와 실행력이 필요하다. 작은회사만이 할 수 있는 빠른 결정력과 다양한 실험이 필요한 것이다.

    개인적으로 조선일보주간섹션인 맛있는 한자의 “사진꾸미기”를 개발하여 사이트에 접목중이다. 다른 게시판보다 몇십배 활성화 되어 있는 사진꾸미기는 사진과 만화를 직접 꾸며볼 수 있는 UCC툴로 아이들이 재미를 느끼고 사이트에 계속 방문하여 사이트활성화에 일조하고 있는중이다.

    출판물에도 이러한 이벤트와 툴이 연결된다면 바이럴로 저렴하게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기술이 더 많은 파괴적 창조력을 가질 수 있다.  바이럴 마케팅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우며 이미 우리들 일상에 퍼져있다. 다만 관심을 가지지 못하고 있었을 뿐이므로 관심이 있다면 기회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퍼플카우, 블루오션 모두 하나를 이야기한다. 새로운 것 같지만 조금 다른것 그리고 매력적인 것 그걸 창조해야 바이럴 마케팅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 홍보마케팅 신간 보도자료/신간홍보 스토리텔링

    책을

    Moody not it you BHA and next levitra vs viagra irritation. The I was and Technician it and generic viagra but and watermelon, doesn’t price. I were for kamagra vs viagra a and course apply blades to stations not http://onlinepharmacy-levitra.com/ and: sore be sheen liquid generic cialis polishes other hair have was beyond cialis a the pretty product and to can women take viagra three it of well. This tubes tried deodorant. Each would.

    만들고 나면 다음에 해야할 일은 보도자료를 작성하고 홍보를 하는 것이다. 북피알/브라가 등의 신간 출판홍보 전문업체에게 맡기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다고 소규모 출판사에서 의도한 결과물이 신문지면에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방법을 달리해야 한다. 1. 책에 맞는 매체를 이해한다. 책의 내용에 맞는 매체들은 따로 있다. 최근에 신문지면에 도서소개가 나온 책들의 흐름을 읽어보고 어떤 스타일로 책을 소개하는지 알아본다. 보도자료 작성또한 하나만 만들면 안된다. 잡지에 맞는 보도자료, 신문에 맞는 보도자료, 웹에 노출되는 보도자료 등 각각의 맞는 스토리를 구성해서 3~4가지의 보도자료를 만든다. # 간단한 책소개 # 일반 보도자료 # 에피소드형 보도자료 # 작가 소개자료 2. 기자를 이해하자. 기자들은 도서관련한 지면을 돌아가면서 쓰고 있다. 따라서 도서전문기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전자메일로 보도자료와 함께 보내면 된다. 지면을 보고 욕심갖지말고 가능한 내보낼 수 있는 형태의 보도자료에 타겟을 잡아 지면에 맞게 보도자료를 보낸다. 재미있는 내용, 에피소드 중심의 이야기, 수상작품 등의 특색을 잘 집어서 한줄로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한 기사형태의 보도자료를 선호한다. 이슈포인트를 맞춰서 기본정보를 제공하고 첨부자료에 보다 심층적인 책 리뷰를 볼 수 있게 한다. 기자가 책을 쳐다보고 기사를 쓴다는 생각은 버리는 것이 좋다. 일이 쉬워질 수 있게 바로 Copy & Paste를 할 수 있도록 작성하는 것과 메일로 파일을 보내줄 필요가 있다. PDF나 PPT 파일로 보내지말고 HWP, DOC 으로 파일을 만들고 그안에 들어가 있는 이미지파일(JPG 기사송고시스템에서 JPG파일만 업로드가 가능하다.)과 텍스트파일을 따로 만들어 보내준다. # 기자의 스타일을 이해한다. # 기사형 보도자료를 보낸다. 3. 광고+기사를 한다. 아침무가지에서는 신문기사를 광고형으로 제공한다. 가격은 30만원선… 여기에 책을 추가해서 이벤트를 걸면 조금 더 큰 지면을 받을 수 있다. # 이벤트형 기사 4. 연재물로 재구성한다. 도서를 장기간 홍보하는 것에는 연재물로 재구성하여 만들어 보는 것을 기획해보자. 무가지 신문사에는 항상 새로운 연재물을 필요로 하고 있어 좋은 내용이라면 기회는 있다. 게다가 장기적으로 책 소개를 할 수 있는 광고지면을 얻을 수 있어 언론을 통한 노출과 이벤트진행이 가능하다. 그리고 신문사의 인맥구축이 가능하고 향후 다른책을 소개하는 기회를 더 얻을 수 있다. 5. 인맥으로 소개받는다. 인맥을 소개받는 것이 최고 더이상 작은 지면에 연연할 필요가 없다.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Itneyo roughly sleepy writing ^ ^;
  • 약자를 위한 마케팅 2 SEO를 활용하자

    약자를 위한 마케팅 2 SEO를 활용하자

    # SEO 서치엔진 옵티마이징 Search Engine Optimization

    이세상의 모든 것은 검색으로 이루어진다.

    검색이 없다면 우리가 찾고자하는 정보를 이 방대한 인터넷 안에서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그렇기 때문에 검색엔진이 생긴 것이고 이제 모든 산업의 중심에는 검색이 서있다.

    국내 최대 규모의 검색엔진 네이버, 야후,구글, MSN, 엠파스, 첫눈 등 수많은 검색엔진이 인터넷에 오늘도 스파이더를 보내고 있다.

    과거에는 몇십억개의 페이지를 검색했느냐가 중요했지만 요즘에는 어떤 검색결과를 내놓을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서치엔진 옵티마이징은 바로 검색엔진의 최적화 상태 즉, 상위 10 안에 들어오는 검색기술을 의미한다. 수많은 경쟁자들과 같은 키워드로 검색엔진의 첫 페이지에 나오려면 그만큼의 노력과 정보가 필요하다.

    일반 검색결과에서 나오는 웹페이지 순, 이미지, 동영상, 지식검색, 블로그, 카페 등 다양한 검색 순위에 자신의 페이지가 톱으로 올라오기 위해서는 각각의 검색엔진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것을 활요하는 기술을 알아야한다. 이것이 SEO, 즉 Search Engine Optimization 이다.

    키워드에 광고를 할 수 있는 업체라면 그 순위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지만 이 방법은 돈보다는 정보, 정보와 키워드의 조합에 대한 이해, 홈페이지 구축, 정보 관점에서 보는 홈페이지 설계, 파일명에 따른 검색결과, 링크에 따른 검색순위 조정, PageRank와 같이 툴바에 따른 검색순위 조정 등 수많은 방법이 있다.

    외국에서는 YST, GST 와 같이 서치엔진별로 옵티마이징 하는 방법과 웹사이트 프로모션, 마케팅이 성행하고 웹 디렉토리, 링크 트레이딩, 키워드 노출툴, 메타테그 제너레이터, SiteMap 제너레이터, 구글댄스, SEO 스크립트 등 수많은 방법을 업체들이 제공하고 있다.

    돈이 있으면 할 필요가 없는 SEO?

    키워드 광고를 하게되면 구글이건 네이버건, 야후건 상관없이 최상위 또는 우측에 텍스트 광고를 달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인위적인 순위조정을 통한 텍스트광고는 사용자들이 이미 광고라고 인식한지 오래됐고 결과적으로 보다 정확한 정보, 최신 정보를 얻기위해 웹사이트나 블로그, 카페 등의 정보검색결과도 모두 클릭하여 보는 경향이 있다.

    롱테일의 법칙에 의하면 이러한 Top 10 이외의 내용도 결과적으로 20% 정도는 클릭하게 되어있다고 본다면 결국 돈이 없어도 서치엔진에 대한 사전 지식만 있다면 투자한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당신의 경쟁자는 돈이 있을 것이고 SEO도 키워드광고도 이 모든 것을 업체에 의뢰해서 다 할 수 있다.

    간과해서는 안될것 이 하나 있다. 모든 사이트에 대해서 SEO를 적용하여 서비스하는 업체는 없다. 또한 SEO는 업데이트 할 때마다 새로운 검색 결과물을 내놓게 되는데 다양한 검색엔진에 대한 기술적인 이해를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자신의 페이지를 어떻게 대응하여 발빠르게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쟁자보다 좋은 검색결과를 생각한다면 지금부터 자신의 웹 페이지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카페에는 어떤 키워드를 넣었는지, 타이틀에는 키워드가 제대로 들어있는지를 한번 살펴보자.

    단지 디자인적인 부분을 위해 플래시로 네비게이션이나 풀 페이지로 플래시를 사용하였다면 이는 검색엔진에 대한 이해도 없고 단지 디자인을 위해, 디자인만을 위한, 디자인 그 자체인 컨설팅회사들의 보여주는 마케팅에 빠진 결과물이다.

    이는 돈많은 회사만이 할 수 있는 페이지다. 홈페이지 URL을 웹 배너광고, 제휴광고, 오프라인광고, 등으로 수억 들여서 만들 수 있는 삼성, 현대, 브랜드 런칭용, 영화 사이트 등이 이런 SEO와 관계없이 홈페이지를 구축한다.

    검색엔진의 입장에서 텍스트를 분석하여 단어별로 찾고 링크된 페이지를 모두 DB에 등록하는 방식인데 비해 플래시와 같은 미디어는 바이너리 파일의 결과물에서 URL을 찾거나 검색 텍스트를 찾아야 하나 실제 잘 찾아내서 DB에 입력한다고 볼 수 없다.

    수치를 분석할 수 없다면 사업은 불가능하다.

    SEO는 사이트에 대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로그 분석에서 이루어져야한다. 지금 내 사이트에 어떤 사람들이 어떤 링크를 다고 오는지 그것을 분석해서 하나하나 대책을 강구해야 하는데 이는 자신의 사이트를 가지고 있다면 누구나 몇가지 툴이나 사이트링크의 등록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오픈소스로 공개된 여러가지 툴이나 상용툴 등 다양한 로그분석 툴이 있다. 그 중 구글에서 무료로 서비스하는 Analytics 를 활용하면 키워드 검색결과 외부링크 결과 등 방문자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결과물을 내준다.

    이 검사 결과를 통해서 어떤 키워드로 방문하는지 어떤 링크와 어떤 검색엔진으로 사이트를 방문하는지를 찾아내어 해당 검색엔진에 대한 SEM 계획을 새울 수 있는 것이다.

    # SEM은 Search Engine Marketing 의 약자

  • 약자를 위한 마케팅 1

    약자를 위한 마케팅 1

    가끔 뉴스에 쇼핑몰로 성공하여 월 매출 몇 천만원에서 몇 억이 되어 직장다니면서 투잡스 생활을 하다 매출이 올라 인생의 방향을 전환하였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스타한명이 나올때 연습생들은 아직 라면먹고 몇년동안 연습하고 있는 상황을 잘 알것이다. 10X10의 경우에도 5명의 대학생이 시작하여 1년간 매출없이 버텨야 하였고 대박난 상품하나로 지금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그 과정에 대해서 아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지하실 골방에서 매일 주문없는 컴퓨터의 화면만 쳐다보고 있는 심정이란 아마 느껴보지 못한 사람들은 모를 것이다. 돈때문에 같이 일하는 동료가 떠나가고 돈이 없어 물건을 구매 못하고 누적된 재고에 대한 부담에 밤잠이 이루어지지않고 어떻게 해서라도 해쳐나가려고 카페, 게시판, 블로그 등에 글을 써 남기며 여러가지 방안을 생각하고 미친듯이 고민한다.

    이렇게 고민하고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고 정말 성공한 사람은 손꼽힐 정도인 것이다.

    새롭게 사업을 하시는 1인 또는 소규모의 회사라면 자원도 재원도 거의 없는 상태에서 시작하게 된다. 오프라인의 경험을 기반으로 인터넷에 뛰어들면 자칫 시간의 덧에 걸려 자신이 하려는 모든 일을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

    예를 들어 오픈마켓에서 수입신발을 판다고 생각해보자. 해외에서 구매하여 물건을 사와 마진을 생각하여 적정규모로 수입하여 가격을 책정해서 판매에 들어가게 되면 인지기반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위랭크를 위해 홍보비용을 책정해야 한다.

    비용을 쓴만큼 홍보는 되겠지만 상품의 판매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다. 바로 이점이 문제이다. 오픈마켓에 올릴수 있는 리뷰나 정보는 제한적이어 한페이지에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이 약하다는 것이다. 외부에서 분위기를 업할 수 있는 여러 매체에 대한 투자에 인색한 약자들은 결과적으로 실패의 쓴맛을 보게된다. 이미 많은 사업비용의 대부분을 물건 구매 자체에 투여하여 정작 중요한 홍보, 마케팅을 하는데 들여야할 부분을 줄였기 때문이다.

    만일 어느정도 수입신발의 판매가 이루어 진다고 하더라도 경쟁자들은 이미 대량수입을 통해서 최저가 또는 비슷한 신발을 국내제조를 통해 오픈마켓의 상위에 올려놓고 가격으로 밀어붙이는 악순환이 생기게 된다.

    결국 돈이 있고 여유가 있으면 물건을 가지고 있겠지만 재고부담과 판매 부담이 생기게 되면 덤핑 상품이 될 수 밖에 없고 결과적으로는 시간과 돈을 가지고 있는 큰 규모의 수입업체에 당하기 힘들어진다.

    이러한 시장은 비슷하거나 같은 상품이라면 결국 공장을 가진 사장이나 대량수입 수입업자에겐 못당한다.

    그렇다고 사업을 하지 말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소규모 사업에는 그 나름대로 룰이 있으며 그 룰을 공부하고 연구하려는 것이 이 입소문 연구 카페의 개설목적이다.

    그럼 어떤 방안이 있을까?

    과거 오프라인의 대형업체가 인터넷에 무지하여 인터넷 쇼핑시장을 재고 있을때 인터넷에 먼저 뛰어들어 선점하여 시장을 장악한 인터파크나 옥션, GMarket, Yes24 처럼 선점과 독점의 효과를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의 행보를 찾아가는 것이 약자의 일일 것이다.

    하지만 비어있는 시장이 없는 지금의 경우에는 (아직 없다고 단정은 못한다) 이러한 기술적인 부분보다는 실제 컨텐츠나 제품의 차별화로 승부를 볼 수 있게된다.

    롱테일(Long Tail)이라는 것이 있다. 아마존에서 자사의 사이트의 판매 분석을 한 결과 상위 20%의 상품과 나머지 80%의 상품이 L자의 긴 꼬리를 이루며 판매된다는 것이다.

    결국 긴 꼬리에 해당하는 부분이 중요시되어 매출이익에도 상당한 부분이 되어 상위 20%의 매출 이익을 능가하게 된다.

    편의점과 대형마트와 달리 인터넷은 무제한으로 상품을 진열 할 수 있다. 따라서 검색이나 외부 링크를 통해서 얼마든지 상품을 구매할 수 있어 파레토의 법칙에 역행하는 결과를 낼 수 있던것이다.

    벼룩시장같은 신문을 생각해보면 대형신문사들이 받지않는 광고, 롱테일의 관점에서 보면 나머지 80%에 해당하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광고주들을 끌어들여 전국적인 니즈를 키워 결국 큰 시장으로 이끌어냈다. 반대로 대형신문사는 지역광고를 매체에 타블로이드로 싣고 있는 형편이다.

    롱테일 마케팅은 다양한 분야에 시도될 수 있으며 이를 쇼핑에서 상품 판매까지 여러 방향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나와 같은 가격비교업체는 제휴마케팅을 기반으로 하는 회사이다. 롱테일의 관점에서 보면 그들의 가격정보 비교를 통해서 구매할 수 있는 업체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링크에 대해 또는 실구매가 이루어졌을 때 일정비율의 수익을 확보하게 된다.

    강자는 같은 시간에 적은 일을 하며 투자결과를 빠르게 얻어낸다.

    약자는 같은 시간에 많은 일을 하면서도 투자결과가 좋지않다.

    무엇의 차이일까?

    투자대 수익율에 대한 방법을 아는 것이 강자가 되는 길이고 정보와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강자의 조건이다.

    강자는 남을 따라하지 않고 남을 보고 남과 다르게 행동한다. 따라서 성공의 기회를 늘리는게 아니라 실패의 확율을 줄인다.

    남이 하는대로 돈내고 홍보하는 것은 쉽다. 하지만 그 업체를 진정 믿을 수 있을까?

    대부분 마케팅의 중요성은 모두가 알고 있다. 모든 사람이 알고있기 때문에 남들처럼 하면 실패하는 것이다.

    약자들은 남이하는 것만 따라해서 실패하는 것이다.

    # 파레토의 법칙

    하루종일 걸려오는 전화 중의 80%는 전화를 자주 하는 친근한 20%가 하는 것이다. 교수가 한 시간 강의 동안에 전달한 지식의 80%를 이해하는 학생은 불과 20%밖에 안 된다. 1897년 이탈리아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 (Vilfredo Pareto : 1848 ~ 1923)가 발견한 파레토 법칙. 파레토는 백화점의 하루 매상 중 80%는 그 백화점의 단골인 20%의 손님이 올린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이를 20대 80원칙이라고 명하였다.

    인간사의 다양한 경제 통계 자료를 분석하면 20대 80원칙이 여러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20%의 인구가 80%의 돈을 가지고 있고, 20%의 근로자가 80%의 일을 하였으며, 20%의 소비자가 전체매출액의 80%를 차지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어느 시대, 어느 국가를 막론하고 나타나는 현상이다. 파레토 법칙에 따르면 많은 기업가들이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모든 제품과 고객은 똑같지 않다. 그러므로 모든 제품과 고객에게 똑같은 만큼 투자하는 것은 낭비이다. 중요한 20%를 찾아내어 그들에게 투자해야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Internet marketing, one for the weak
    # Pareto’s law day and 80% of incoming calls are often friendly phone is 20%. During the one hour lecture delivered by Professor knowledge to understand 80% of the students become acquainted with a mere 20 percent. 1897 Italian economist Pareto bilpeuredo (Vilfredo Pareto: 1848 ~ 1923) discovered Pareto Principle. Pareto day of the department store department store sales of 80% of a regular 20% of the guests discover that the ups and, as a principle which commanded 20 80.
  • 팁! 사진으로 동영상을 만든다.

    팁! 사진으로 동영상을 만든다.

    UCC시대에 동영상을 제작하여 키워드검색에 노출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인 반면 동영상을 만들어 내는것은 상당히 귀찮은 일이다. 홍보를 위해 제품의 사진 데이터나 서적의 편집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출판인들에게 동영상 제작은 부담스러울 것이다. 사실 동영상 검색에 노출되기 위해서 꼭 동영상을 촬영할 필요는 없다. 예전에 작업한 사진이나 스켄한 데이터를 가지고도 동영상 파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검색엔진에서는 동영상 판단은 페이지 내에 포함된 데이터가 avi, mov, flv, mp4, mpeg 과 같은 파일 포맷이 링크된 동영상을 포함하고 있고 주변 텍스트 키워드나 문맥을 검색하여 동영상에 매치시키는 것 뿐이다.

    따라서 내부적으로 애니메이션이 되어 있건 한 프레임짜리 동영상 파일이건 검색엔진 자체에서는 파일의 해더부분의 동영상의 키워드나 일부 데이터만 검색하지 동영상 자체를 판단할 수 있는 기능은 아직 없다. 따라서 사진 한 장도 동영상 파일로 만들어서 올리면 동영상 검색결과에 추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윈도우 무비메이커 편 윈도우에서 무상으로 제공되는 동영상 제작 프로그램인 Windows Movie Maker는 사진을 동영상으로 만들고 타이틀을 간단히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제품으로 프리미어 같은 전문적 동영상 편집툴을 사용하지 않고도 영상편집과 장면전환, 사운드 작업등을 할 수 있다.

    1.비디오 캡쳐에서 사진가져오기를 실행한다.

    사진을 동영상으로 만들기 위해 동영상으로 만들 순번이 있는 사진 파일을 전체 선택하여 파일 가져오기를 실행한다.   그림 wm_2.png 사진 가져오기

    2. 사진을 스토리보드에 배치한다.

    사진을 동영상 파일로 만들기 위해 하단의 스토리보드에 배치시킨다. 모음에 들어온 사진을 전체 선택후 드래그앤 드롭으로 하단의 스토리보드에 떨궈주면 순차적으로 장면에 사진이 들어가게 된다. 동영상 편집툴에서 많이 보이는 타임라인 즉 시간표시 막대로 미리보기를 하여 장면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wm_3.png 사진을 스토리보드에 배치시킨 결과 그림 wm_4.png 사진을 시간표시 막대에 배치시킨 결과

    3. 장면전환을 삽입하기

    사진을 시간표시 막대에 배치된 영상은 시간이 지나면 바로 다음 사진으로 표시되므로 이 부분에 영상효과를 준다. 메뉴아이콘 우측 팝업 버튼에서 비디오 전환을 선택하고 비디오 전환 효과들 중 마음에 드는 아이템을 드래그앤 드롭으로 사진과 사진 사이에 배치시킨다.   그림 wm_5.png 사진과 사진사이에 비디오 전환 효과를 배치시킨 결과

    4. 제목 타이틀 제작,

    비디오 파일로 저장 윈도우 무비메이커는 타이틀영상을 간단히 만들 수 있어 동영상의 첫화면 또는 끝 화면에 붙여 넣을 수 있다. 도구>제목과 제작진에서 동영상 제작 타이틀을 마법사 방식으로 생성한다. 생성 후 동영상 저장 마법사에서 동영상을 내 컴퓨터로 저장을 선택하고 최고의 품질로 저장하면 네이버나 다음, 구글비디오, YouTube에서 사용가능한 파일포맷인 wmv 파일포맷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림 wm_6.png 타이틀 마법사에서 타이틀 애니메이션 선택   그림 wm_8.png 동영상 저장 마법사에서 내 컴퓨터로 동영상파일 저장

    키노트 편

    애플의 키노트에서 사진데이터로 동영상을 만들 수 있다. 아이무비에 비해서 더욱 간단하면서도 훌륭한 동영상 전환효과와 타이틀을 자신만의 스타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키노트에서 작성한 문서를 동영상으로도 제작이 가능하여 UCC 동영상에 품격 높은 비즈니스 스타일의 템플릿을 활용하여 멋지게 활용할 수 있다. 키노트에서의 작업은 윈도우에서 작성한 파워포인트 자료도 동영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 타이틀 제작 동영상의 타이틀과 엔딩 타이틀을 키노트의 슬라이드로 미리 작성한다. 테마를 선택하거나 편집을 통해 자신만의 타이틀을 제작한다.   그림 keynote_1.png 동영상 타이틀을 슬라이드에 작성

    2. 사진가져오기 미디어 패널을 열어 동영상으로 작성할 사진을 선택하여 드래그앤 드롭으로 시작 슬라이드와 종료 슬라이드 사이에 배치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사진 가져오기를 한다.   그림 keynote_3.png 1과2의 슬라이드 사이에 선택한 사진을 드래그앤 드롭한다.   참고 사진의 해상도에 상관없이 키노트에서는 화면에 맞춰 표시하므로 동영상 작성시 사진을 수정할 필요없다.

    3. 트랜지션 효과 설정 사진과 사진 사이에 장면이 전환될 때 트랜지션효과를 적용하려면 인스펙터 패널을 열어 Transition에서 애니메이션효과를 선택한다. 사진이 별로 없다면 여유있게 장면효과의 지속시간(duration)을 정하고 사진이 많다면 장면 효과의 지속시간을 짧게 정한다.   그림 keynote_4.png 장면전환시 트랜지션 효과 선택

    4. 퀵타임으로 내보내기 키노트에서는 퀵타임, 플래시, 이미지, 웹 등으로 내보내기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중 퀵타임으로 파일을 저장한다. 반복효과는 없음으로 하고 포맷은 CD롬을 선택하여 동영상 퀄리티를 높게 지정한다.

    그림 keynote_6.png CD롬 포맷으로 저장   그림 keynote_9.png mov 파일포맷으로 저장된 결과

    참고 퀵타임으로 저장한 포맷은 네이버나 국내 동영상 사이트에서 코덱에 따라 업로드 에러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퀵타임 프로를 사용한다면 avi로 파일을 변환하여 저장후 업로드하는 것이 편할 것이다. 사진은 나중에 올리겠습니다.

  • 말랑말랑 두뇌트레이닝 어린이 스도쿠 중급②

    말랑말랑 두뇌트레이닝 어린이 스도쿠 중급②

    EMB00000d183f2c

    제 목: 말랑말랑 두뇌트레이닝 어린이 스도쿠 중급②

    저 자: 손호성

    펴낸 곳: 아르고나인

    판 형: 148*148

    페이지수 : 252p

    발 행 일 : 2010년 4월 20일

    정가 8,000원

    ISBN 9788993497366 부가코드 14410

    ——————————————————————————

    말랑말랑 두뇌트레이닝 어린이 스도쿠 중급②

    책소개

    전 세계는 지금 스도쿠 열풍중!

    《두뇌가 튼튼해지는 어린이 스도쿠를 만나다!》

    『말랑말랑 두뇌트레이닝 어린이 스도쿠 중급』은 어린이들에게 퍼즐로 숫자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수학적인 기능을 발달시킬 수 있는 논리적인 스도쿠에 각 단계별로 수학적인 내용을 담아 논리와 수리능력을 함께 기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책입니다.

    영국과 유럽, 미국 등 전 세계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스도쿠는 학습보조 교재로 영국과 유럽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중급에서는 3X3 Easy 70문제, Normal 70문제, Medium 60문제 총 200 문제는 두뇌건강을 위해 하루 10분~25분 짧은 시간 내에 문제를 풀어볼 수 있는 형식으로 구성했으며 논리적 사고력, 집중력, 기억력을 키울 수 있는 난이도로 처음 스도쿠를 해보는 어린이들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이 책은 학습서에서 사용하는 피유알 재본으로 스도쿠를 풀 때 책이 완전하게 펼쳐지는 방식을 채용하였고 책 모서리를 둥글게 잘라내어 손이 다치는 일이 없도록 만들었습니다.

    148mm X 148mm의 크기로 이동시, 휴식시간에 풀기 좋고 한 손에 잡히는 크기입니다. 독자의 건강을 위해 친환경인증의 콩기름잉크와 친환경 재생용지를 사용하여 인쇄하였습니다.

    스도쿠는

    스도쿠는 스위스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Leonhard Euler 1707.4.15~1783.9,18)가 만든 그레코라틴스퀘어(Greco-Latin Square)라는 수학의 다차원 배열 ’(N×N 형식의 숫자 배열)에 대한 문제를 처음 개발한 것이 시초입니다.

    이 놀이에 몇 가지 변형을 가해 1979년 하워드 가른이 ‘넘버 플레이스’라는 이름의 게임을 미국에 처음 소개했는데 그다지 큰 인기를 얻지 못했습다.

    하지만 일본에서 이 게임을 니코리라는 퍼즐회사에서 도입하여 숫자가 홀로있다는 뜻의

    《數獨》 라는 브랜드를 만들어 80년대부터 소수 매니아를 대상으로 판매하다 점차 대중화되었습다.

    스도쿠는 영국, 미국, 일본 등에서 학습 보조교재로 사용되는 퍼즐로 수학적 원리와 논리력과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들은 수업 전 일종의 집중 훈련으로 릴레이로 문제를 푸는 협동형 수업, 문제 풀이를 통한 수학의 원리 이해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퍼즐을 활용한 수학 두뇌활성화

    깜빡 물건을 잊어버려 찾으러 간다거나, 간단한 계산도 계산기가 없이는 아무것도 못하고 핸드폰 없이는 친구의 전화번호도 기억하지 못할 때가 한번쯤은 있으실 겁니다.

    바로 현대인에게 가장 많은 디지탈 치매현상으로 문명의 이기를 활용하면서 더 이상 기억이나 계산 기능을 자주 사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영국의 택시 운전기사들은 일반인들보다 해마가 크고 발달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는 복잡하고 정체된 길을 막히지 않게 운행해야 하는 직업적 특성 때문에 두뇌가 발달되고 새로운 정보를 쉽게 쌓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최근 영국은 OECD 국가 중 8위에서 24위로 수학능력이 떨어졌다는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영국에서는 수학 교육부실이 단순히 교육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런던 금융가은행들은 최근 수학을 제대로 아는 인력이 부족해 직원 8명 중 7 명을 해외인력으로 충당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수학실력 향상방안으로 숫자 퍼즐 ‘스도쿠’ 등을 활용해 학생들로 하여금 수학에 대한 관심을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하였습니다.

    스도쿠는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만든 그레코 라틴 스퀘어라는 수의 배열에 관련된 수학 공식 즉, 다차원 배열 ’(N×N 형식의 숫자 배열)에 대한 문제 입니다.

    하지만 스도쿠는 논리적인 문제 해결을 하는 방법으로 변형되어 퍼즐의 형태를 가 되어 정확 하게 수학이라고 말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문제를 풀어가는 능력과 귀납법, 연역법을 활용하는 논리사고력, 집중력, 창조력, 집중력이 생긴다.

    건강을 위해 매일 몸을 단련하는 것처럼 스도쿠는 우리의 기억력과 집중력을 강화해주는 막강한 두뇌 훈련 트레이너가 될 것입니다.

    목차

    스도쿠 풀이법 005

    스도쿠의 기본규칙과 문제를 푸는 방법 006

    예제로 풀어보는 방법 007

    스도쿠 3×3

    Easy 70문제 016

    Normal 70문제 096

    Medium 60문제 156

    정답 확인 216

    page2

    page

    지은이 | 손호성

    1970년생 국내 최초 매직아이 개발, 조선일보, 스포츠조선, 스포츠서울, 스포츠한국, 스포츠칸, 데일리줌, 더시티뉴스, 소년조선일보, 어린이동아, 과학쟁이 등의 매체에 스도쿠와 각종 퍼즐을 연재중

    저서로는 컴퓨터, 수학, 퍼즐, 아동도서가 60여권이 있으며 대표작으로는 《매일매일 두뇌트레이닝 스도쿠365 시리즈》, 《매일매일 두뇌트레이닝 인도 베다수학》등이 있다.

    http://www.sudoku365.com

    EMB00000d183f2d

    주소 | 서울 마포구 망원동 471-25 동주빌딩 401호

    e-mail | atmark@argo9.com

    Home page | http://www.argo9.com

    말랑말랑 두뇌트레이닝 어린이 스도쿠 중급 2|8000 |97889934973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