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폰트

  • 나만의 한글 폰트 제작을 더 쉽게

    폰트제작 시간을 줄여주는 방법론

    폰트 그리드를 먼저 에디터로 만들면 거기에 맞춰 자신의 손글씨 스타일을 직접 적용하는 방식으로 바꿈… 초성, 중성, 종성 몇벌이 들어가는지는 결국 어떤 폰트 형태로 만들지에 따라 ㅔㅖㅓㅣㅏㅒㅑ에 붙는 초성만 몇벌이 들어감 일율적으로 너비만 맞추면 한글이 이상해짐

    인공지능이 만드는 글자들이 대부분 비슷한 이유가 학습하는 스타일이 몇가지 레이아웃을 기준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반대로 내 글씨와 비슷한 폰트 유형의 그리드를 만들고 120개, 250개, 500개 초, 중, 종 조합의 폰트가 만들어지게 되며 확장을 위해 더 많이 넣을 수록 상업용에 가까운 폰트로 제작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온라인에 엄마의 손글씨를 넣으면 몇가지 템플릿에 글자를 쓸 수 있는 가이드가 실시간으로 제작되어 PDF를 받게됩니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인쇄해서 보낼 수도 아이패드 앱에서 글씨쓰면 끝나는 방식이고 수정해서 글자조합이 된 PDF를 먼저 웹에서 확인

    TTF, OTF 파일과 파일 구조에 맞춰 폰트가이드와 조합했을 때 잘못된 것을 모두 확인해주는 리포트를 제공합니다. 폰트 에러는 의외로 많이 발생합니다.

    디자이너면 2단계 정도면 자신의 폰트를 만들 수 있음 폰트조합만 3일 걸린다고 하니까 그걸 1분 정도 만에 끝내서 제공

    이제 폰트는 그냥 취미…

    브런치 글 이미지 2

    석보상절 폰트 가이드 실제 폰트에디터 글리프나 폰트포지에서 사용하는 방식이 아니며 일러스트레이터에서 폰트 만드는 용도로 제작한 가이드입니다. 현재 웹에서 가이드를 편집하는 기능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엄마/아빠 글씨로 폰트를 만들어 가족의 기록을 모아 책으로 만들어 드리는 기획은 여전히 하고 있습니다.

  • 직결식폰트 가이드라인

    자모 한 벌로 글꼴만들기

    브런치 글 이미지 1

    직결식폰트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80년대 폰트를 새로 제작하고 있습니다. 초성, 중성, 종성을 자모 딱 한 벌을 가지고 제작하는 폰트이기 때문에 기준 베이스라인에 맞춰 같은 스타일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탈네모꼴이 되기 때문에 새로운 느낌을 줄 수 있지만 아주 잘 설계해야 예쁜 모양이 나옵니다.

    빨랫줄처럼 받침 글자가 줄줄이 매달린 듯한 느낌을 주는 것도 이 글꼴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사실 예전에 기계식 타자기로 fㅓㄹ, pㅜㄹ 같은 영문과 한글 조합을 만들었던 기억도 납니다.

    브런치 글 이미지 2

    만화효과음 폰트 테스트로 제작한 것으로 제작샘플을 작업했지만 수정해야할 부분이 꽤 많이 있어서 다시 가이드에 맞춰 제작을 다시해야 합니다.

    직결식은 공병우식 세벌식 타자기의 자판을 기준으로 제작된 폰트의 유형이지만 네모꼴 폰트가 주류를 이루고 난 다음에는 많이 안보이지만 최근 새로운 스타일을 원하는 영상자막에는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풀어쓰기 입력하는 느낌과 마치 타자기 치는 느낌의 영상용 애니메이션 폰트(스크립트)를 하기 위해 작업하고 있습니다. 직결식 폰트처럼 디자인 유형이 다른 새로운 조합과 폰트스타일에 가변이 조합되는 폰트에 대한 연구도 계속 하는 중입니다.

    손글씨는 누구나 같은 글씨를 매번 똑같이 쓰지 않기 때문에 변화의 정도가 완전히 다릅니다. 그 부분을 해결하려고 하는 실험을 하는데 쉽지는 않네요 ^^